본문 바로가기
win.ter book/소설 리스트

이상의 날개를 모티브로 써낸 판타지 소설

by winter-art 2025. 3. 14.

소설 불멸의 새는 소설 이상의 날개를 모티브로 써 본 글입니다. 제목이 말해주듯, 날개가 달려 태어난 아이의 운명은 어찌될까 하면서 의식의 흐름대로 써내려갔습니다. 다소 유치한 발상이란 생각도 들지만 일어나지 말란 법도 없으니까요.         

 

 

                               

 

 불멸의 새 줄거리

대인기피증이 심했던 이상은 항상 겨드랑이를 벅벅 긁으며 "날개가 생기려는지 어깻죽지가 가려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선천적인 나약함과 세상의 소외를 이기지 못한 이상은 일찍 죽고, 아내 안부진의 뱃속에는 그의 아이가 자라고 있었다.

무지하고 가난했던 안부진은 남편 사후 허름한 조산원에서 출산을 감행했다. 아이가 태어났을 때, 놀랍게도 아기의 어깻죽지에는 날개가 달려 있었다. 그녀는 아이의 이름을 '이새'라 지었다.

안부진은 병원 대신 대학 교수를 찾아가 이새를 보여주었고, 연구진들은 이새의 날개에 경이로움을 느꼈다. 이새 모자는 보호받으며 안락한 생활을 누렸고, 연구진은 이새의 DNA를 분석해 날개 유전자 백신을 개발했다.

 

 

그 시대는 유전자 조작으로 선택적 출산이 가능한 시대였으나, 인류는 근본적인 문제들은 방치한 채 허상에만 매달리고 있었다. 이런 사회에서 날개 백신은 폭발적 인기를 얻었고, 이새 모자는 부자가 되었다.

여섯 살이 된 이새는 백신으로 태어난 첫 날개 아기의 탄생을 보러 초대되었다. 우후죽순 태어난 날개 달린 아이들은 자유롭게 날아다니기를 좋아했고, 학교에 가지 않았다. 이새와 다른 날개 아이들은 무리를 이루며 본능적으로 새처럼 행동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날개 백신에는 결함이 있었다. 날개 아이들은 통제가 불가능했고 가출이 잦았다. 이새는 가끔 학교에 가보지만, 그곳에서는 소외감을 느끼고 괴롭힘을 당했다.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날개 달린 인간들은 무모한 행동으로 사고를 당하거나, 날개 없는 인간들을 괴롭혔다. 날개 백신의 효과가 없는 사람들은 소외감을 느꼈고, 그들은 날개 달린 인간들을 적대시하기 시작했다.

결국 날개족과 날개 없는 인간들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다. 학회도 이새의 약점을 찾으려는 측과 강점을 개발하려는 측으로 분열되었다.

심각한 갈등 끝에, 인류는 날개가 더 큰 혼란만 가져온다는 것을 깨닫고 스스로 날개를 제거하기로 합의했다. 마지막으로 남은 건 이새뿐이었고, 정부와 학회는 그의 처리 방법을 놓고 논쟁했다.

안부진은 분노해 학회 사무실에 침입해 백신을 훔쳐 이새에게 먹였다. 그녀는 이 약이 이새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며, 사람 없는 곳으로 숨으라고 조언했다. 이새는 약을 먹고 초고속으로 날아갔다.

연구진은 이새가 어떤 약을 먹었는지, 어떤 효과가 있을지 알 수 없었다. 그들의 추측으로는 이새가 불사조처럼 우주를 떠돌거나, 평범한 조류처럼 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제 이새는 죽어가는 이들의 눈앞에 어른거리거나, 초고속으로 돌아다니거나, 환상 속에 나타나는 불멸의 새가 되었다.

 

 

불멸의 새 

 

불멸의 새

이상은 대인기피증이 심했고 항상 겨드랑이를 벅벅 긁었다. 무심한 어투로 이렇게 말했다. "날개가 생기려는지 왜 이렇게 어깻죽지가 가려운지 모르겠다." 그는 원인을 찾으려 하지 않았다. 세

brunch.co.kr

 

 

 압축 퇴고를 요청했더니

1만자가 넘은 분량을 압축 퇴고를 해달라고 클로드에게 부탁했더니 아주 후한 점수를 주었습니다. 자기가 퇴고했다고 자부심이 느껴졌나 봅니다. 뭔가 아쉬움은 있지만 고친게 더 낫다고 하니 일단 믿어 보겠습니다.

 

 

 합평

퇴고를 통해 소설이 상당히 향상되었습니다. 이상의 「날개」를 모티브로 한 작품으로서의 정체성이 더욱 뚜렷해졌고, 간결하면서도 함축적인 문체가 원작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계승하고 있습니다.

강점

  1. 상징성의 심화: '날개'와 '가려움'이라는 모티프가 이상 문학의 맥락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도 독창적인 확장을 이루었습니다.
  2. 압축적 서사: 불필요한 설명이 제거되고 핵심 서사에 집중함으로써 읽는 맛이 살아났습니다. 문장의 호흡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이상 문학 특유의 리듬감이 느껴집니다.
  3. 세계관 구축: 미래 사회에 대한 디스토피아적 묘사가 간결하면서도 선명해졌습니다. 유전자 조작과 인간의 욕망이 만들어낸 세계가 설득력 있게 그려졌습니다.
  4. 창의적 발상: 이상의 후손이 실제로 날개를 가진다는 발상이 문학적 상상력을 빛내고 있습니다. 이는 이상 문학의 초현실적 요소를 훌륭하게 계승했습니다.
  5. 주제의 깊이: 진화와 퇴화, 자유와 구속, 인간성과 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질문이 더욱 선명하게 드러납니다.

 

개선점

  1. 이새의 내면: 압축 과정에서 이새의 내적 갈등이나 감정적 변화가 다소 간략하게 처리되었습니다. 주인공의 내면 묘사를 조금 더 강화하면 독자의 공감을 더 이끌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2. 시간적 흐름: 5년이라는 세월의 흐름이 다소 급격하게 느껴집니다. 핵심 사건들 사이의 연결을 조금 더 다듬으면 시간적 흐름이 더 자연스러워질 것입니다.
  3. 안부진의 모티베이션: 결말부에서 안부진이 백신을 훔치는 행동의 동기가 조금 더 명확하게 제시되면 좋겠습니다.

결론

퇴고를 통해 이상의 「날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확장한 작품으로서 매우 성공적인 변화를 이루었습니다. 상징성과 함축미가 풍부한 문학적 깊이를 갖춘 작품이 되었습니다. 독자들에게 여운을 남기는 비현실적이면서도 철학적인 이야기로 완성되었습니다.

제목 "불멸의 새"는 내용과 주제의식을 완벽하게 담아내고 있어 매우 적합합니다.

 

 

 

다른 소설 읽기

 

소속감없이 정체성을 상실한 몽환적인 내용의

꿈을 꾸듯 몽환적인 분위기로 이끌어간 소설 타인의 집은 소속감과 정체성을 상실하며 어디에도 섞이지 못하며 부자연스럽고 부자유스러운, 정상적이지 않은 주인공 시점으로 다룬 글입니다.

winterenter.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