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등 효과 즉 가스라이팅 gaslighting이란 상대방의 현실 감각을 조작하여 스스로 의심하게 만드는 심리적 조작 기법입니다. 상대방이 자신의 판단이나 기억에서 감정까지 믿지 못하게 만들고 가해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통제하는 방식입니다. 과거에는 세뇌당했다는 표현을 많이 썼는데 요즘은 가스라이팅 당했다는 표현을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가스라이팅 효과의 유래
가스등, gas light라는 용어는 1938년 영국 연극 gas light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훗날 1944년 영화 가스라이팅이 개봉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잉그리드 버그만이 열연을 펼친 영화로 기억되는데요. 이 영화에서 남편이 아내를 정신적으로 조작하여 그녀를 미쳤다고 만들기 위해 집안의 가스등 불빛을 은밀히 어둡게 조절하는 장면에서 유래합니다. 아내는 이를 보고 조명이 어두워졌다고 주장하지만, 남편은 태연한 표정으로 이를 부정하고 당신이 잘못 본 거야라며 아내를 미치게 만듭니다. 이처럼 가스등 효과란 의도적으로 타인의 현실 감각을 부정하고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통제하는 심리적 조작 행위를 의미합니다.
[beauty people] 배우 이전에 진정한 아티스트였던 잉그리드 버그만
잉그리드 버그만은 1915년 8월 29일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스웨덴인이고 어머니는 독일일이다. 그녀의 어머니는 그녀가 세 살 때 황달로 사망했고 아버지는 그녀가 12
goodinj.tistory.com
가스라이팅의 특징
이러한 가스라이팅은 현실 왜곡의 특징이 있습니다. 가해자는 피해자이 기억과 인지 및 감정을 지속적으로 부정하거나 왜곡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확신이 줄어들게 되면서 자신감을 상실해 갑니다. 피해자는 점차 자신의 판단을 신뢰하지 못하고 가해자에게 의존하게 되는 겁니다. 그러다 보니 가해자는 피해자를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게 됩니다. 직접적인 폭력보다는 은근하고 은밀한 세뇌, 즉 반복적인 심리 조작을 통해 피해자를 길들이게 됩니다. 이처럼 가스라이팅은 피해자의 현실 인식에 혼돈을 주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고 가해자의 통제 아래 두는 전략입니다.
가스라이팅의 단계<부정-왜곡-세뇌>
가스라이팅의 첫 단계는 부정입니다. 피해자가 쏟아내는 경험이나 감정을 가해자는 그런 일이 없다고 부정합니다. 그러면서 무안 주듯 혹은 면박을 주듯 일축 혹은 의견을 몰살합니다. 다음 단계는 왜곡입니다. 피해자가 기억하는 사건을 가해자는 다른 의미로 바꾸어 버립니다. 예를 들어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너도 그때 동의했잖아 식으로 몰아가는 것입니다. 다음 단계는 본격적인 세뇌입니다. 피해자는 반복된 조작으로 인해 스스로를 의심하고 가해자의 말이 진실이라고 믿기 시작합니다. 그러면서 가해자는 피해자를 위하는 척 생색을 내고 피해자는 더욱더 가해자에게 의존하게 됩니다.
가스라이팅을 피하는 방법
가스라이팅을 당하게 되면 자신감 상실은 물론 심리적 의존과 불안과 우울 등을 수반하게 됩니다. 이러한 가스라이팅을 피하는 방법으로는 우선 자기 확신을 가져야 합니다. 자신의 감정과 기억을 부정당하지 않도록 명확한 근거를 갖고 특히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해야 합니다.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사람과 상의하며 가해자를 의심하고 가해자와 거리 두기가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스스로의 감정을 신뢰하고 타인의 조작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문 창고 > 책 읽어주는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쇼펜하우어의 표상 이론에 관하여 (0) | 2025.02.11 |
---|---|
철학 공부의 시작과 연대기 (0) | 2025.02.11 |
세계적으로 유명한 리버럴 아츠 스쿨 리스트 (7) | 2024.10.07 |
데이몬 나이트의 소설창작법에 관하여 (3) | 2024.09.28 |
서사란 무엇인가 저자 미케 발(Mieke Bal)에 관하여 (4) | 2024.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