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투어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칸트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독창적으로 의지의 개념을 발전시킨 형이상학 체계를 형성하였습니다. 그의 저서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다루고 있는 표상 이론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표상의 의미
쇼펜하우어는 칸트의 현상과 물자체를 구분하는 인식론을 전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세계는 표상이다라는 독특한 개념을 덧입혔습니다. 그가 말하길 인간에게 주어진 모든 경험과 세계 자체가 단순히 표상에 불과하다고 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는 우리 의식 속에서 구성된 것일 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인데요. 마치 이 세계는 시뮬레이션되었다고 주장하는 일론 머스크와 같은 생각이 아닌가 합니다. 어찌되었든 쇼펜하우어의 주요 철학 개념은 표상과 의지가 있으며 그가 말하는 표상은 인간이 세계를 경험하는 주관적 인식 속에 존재하는 세계를 의미하며 의지란 세계의 근원적 실재, 즉 본질적으로 맹목적이고 끝없는 욕망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칸트 미학에서 숭고(Das Erhabene)개념
임마누엘 칸트는 1790년 저술한 판단력 비판에서 미와 숭고를 구분하면서 숭고라는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립했습니다. 그가 말하길 숭고는 단순한 아름다움이 아닌 인간의 감각을 초월하는 거대
goodinj.tistory.com
세계는 나의 표상이다라며 칸트의 인식 가능한 세계와 본질적인 실재를 구분하였지만 물자체는 의지로 규정하였습니다. 이것을 정리하면 세계는 우리의 표상 속에서만 존재하며 우리가 경험하는 것은 본질이 아니라 단순한 현상이라고 합니다.
표상 이론과 인식론 차이
쇼펜 하우어는 칸트의 인식론에서 영역을 확장하였는데요. 칸트는 세계의 본질을 현상과 물자체로 나뉜다고 하였고 쇼펜하우어는 오직 표상으로서만 존재한다고 하였습니다. 칸트는 본질적 실재는 우리가 알 수 없는 것이라고 하였고 쇼펜하우어는 맹목적이고 끝없은 의지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칸트는 인식의 구조가 선험적 형식을 통해 세계를 인식한다고 보았다면 쇼펜하우어는 인식 자체가 주관적이며 오직 표상으로만 세계를 경험 가능하다고 보았습니다. 칸트와 쇼펜하우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칸트의 경우 세계는 우리가 경험하는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쇼펜하우어의 입장에서 세계는 의식 속에서만 존재하는 표상이라고 보았습니다.
주관적 인식과 이성적 구성
쇼펜하우어는 이러한 표상을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했습니다. 주관적 인식에 해당하는 직접적 표상으로 감각적 경험을 통해 얻는 세계입니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사물이나 듣는 직접적 경험을 의미합니다. 이성적 구성에 관한 추상적 표상으로는 철학, 과학, 논리적 사유를 들 수 있습니다. 이를 정리하면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 즉 표상은 결국 의지가 반영된 모습일 뿐이며 인간은 이러한 의지를 통제할 수 없으며 욕망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존재로 본 것입니다.
표상 이론이 미친 영향
쇼펜하우어의 표상 개념 및 의지 철학은 이후 많은 예술가 및 철학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중에서 니체는 쇼펜하우어의 의지 개념을 발전시켜 힘에의 의지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프로이드는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욕망을 추구한다는 개념을 도입하여 쇼펜하우어 이론과 유사하였으며 바그너는 그의 오페라에 쇼펜하우어적 세계관을 반영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또한, 20세기 실존주의 철학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사르트르와 카뮈의 부조리 개념도 쇼펜하우어의 허무주의와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습니다.
'인문 창고 > 책 읽어주는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라이팅의 명확한 정의에 관하여 (0) | 2025.02.11 |
---|---|
철학 공부의 시작과 연대기 (0) | 2025.02.11 |
세계적으로 유명한 리버럴 아츠 스쿨 리스트 (7) | 2024.10.07 |
데이몬 나이트의 소설창작법에 관하여 (3) | 2024.09.28 |
서사란 무엇인가 저자 미케 발(Mieke Bal)에 관하여 (4) | 2024.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