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 창고137

오타베 다네히사의 서양미학사 읽기 오타베 다네히사, 서양미학사, 김일림 옮김,2017 예술가가 창조자일 수 있는 것은 자기에 앞선 예술가가 창조한 궤적이 이 ‘시인들의 세계’ 속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이 세계를 자기 활동의 장으로 하는 데 따른다. 예술가는 선행하는 예술가의 창작 활동에 뒷받침을 받으면서 자기의 새로운 세계를 창조한다. Pp.90 서양미학사 훑어보기 예술가의 본질은 창조성 유럽의 근대적 예술관에서 예술가가 ‘창조하는’ 자임은 자명한 명제이며, 창조성이야말로 예술가의 본질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역사를 되돌아보면 그리스도교적 전통에서 ‘창조하다’creare라는 술어는 오로지 신에게만 귀속되고, 인간에게는 ‘창조하는’ 능력이 아니라 ‘제작하는’facere능력이 인정되었던 것에 불과하다. 97. 미학 창시자는 바움가르텐 수정1.. 2021. 10. 7.
예술과 문화 훑어보기 클레멘트 그린버그,예술과 문화, 조주연 옮김, 경성대학교출판부,2019 도시로 이주해서 프롤레타리아와 프티부르주아로 정착한 농부들은 능률을 위해 읽고 쓰는 것을 배웠으나, 도시의 전통 문화를 즐기는 데 필요한 여가와 안락은 얻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새로운 도시 대중은, 전원을 배경으로 하는 민속 문화에 대해서는 취미를 잃어감과 동시에 권태를 배겨낼 수 있는 새로운 능력을 발견했고, 그리하여 그들이 소비하기에 알맞은 종류의 문화를 제공하도록 사회에 압력을 가했다. 22. 수정1 아리스토텔레스, 존슨, 콜리지, 렛싱, 괴테, 19세기의 몇몇 프랑스인들, 에즈라 파운드 또는 초기의 케네스 버크를 잊어버리지 않은 채로, 내가 감히 모든 문학 비평가들 가운데 최고의 선물은 t.s 엘리엇일 것이라는 시사.. 2021. 10. 6.
제럴드 레빈슨의 미학의 모든 것 읽기 제럴드 레빈슨,미학의 모든 것, 김정현, 신운화,신현주, 이종희, 최근홍,북코리아,2018 예술과 미적인 것 중 개념적으로 우선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관한 논의는 많았다. 그러나 창조와 수용이 동시에 일어나는 예술 자체의 특성상 예술이 미적 속성을 드러내고 미적 경험을 유발하는 가장 풍요롭고 다채로운 무대가 된다는 이유에서 이 세 초점들은 자연스럽게 상호 연관된 것으로 여겨진다. 18. 예술의 개념 미학의 세가지 초점들은 예술, 미적 속성, 미적 경험이라 할 수 있다. 18. 예술의 개념에 대한 첫 번째 견해는 예술이 지각 가능한 형식(perceptible form)을 가진다고 보았다. 이러한 견해의 시작은 18세기 독일 철학자인 임마누엘 칸트의 저작에서 비롯되었다. 칸트는 사물과 예술작품과 자연 현상의 .. 2021. 10. 3.
문화에 관하여 문화(culture)란 동물이나 식물을 경작한다는 뜻에서 파생됨. 문화란 인간의 독특한 삶의 양식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 말이다 .이 어원으로 시작해 문화는 점차 인간의 정신을 기리고 다듬는다는 의미가 포함되기 시작하여 문화인을 예술성을 지닌, 교양있는 사람으로 변모해갔다. 상류층과 하류층의 문화 차이 이렇게 의미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소는 신분사회의 도래가 크다. 신분사회가 되면서 사람들 사이에는 구분되는 삶의 양식이 발전했기 때문이다. 상류층과 하류층의 삶이 다른 것처럼...... 상위 신분의 경우 정신 노동에 종사하지만 하위 신분의 사람들은 육체 노동에 종사하는 식의 분리가 생겨난 거다. 또한 상위 신분의 삶은 고상함을 추구하고 하위 신분은 열등하고 천박하다고 보는 관습이 만들어졌다. 그래서 초기의.. 2021. 10. 1.
김문환의 비판 이론의 예술 이해 훑어보기 김문환,비판 이론의 예술 이해, 이학사,2016 호르크하이머는 비판이라는 말을 깊은 사려 없이 단순히 습관적으로 기존의 생각, 행동, 그리고 사회적 조건들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는, 지적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천적인 노력이라고 이해한다. 바로 그런 의미에서 비판 이론은 독일관념론뿐 아니라 철학 자체의 상속자이다. 19. 예술사회학 예술사회학이라는 어휘는 18세기 이후로 체계화된 예술 일반을 상대로 한 사회학적 연구들을 뜻할 수도 있지만 각각의 예술이 공통성과 함께 특수성 역시 지니고 있는 만큼 논의의 범위를 좁히는 뜻에서 문학사회학에 초점을 맞출 수도 있다. 취미는 역사적 경험의 가장 정확한 지진계이다. 다른 모든 능력과는 달리, 그것은 자신의 행동까지도 수록할 수 있다. 자신에 대해 반응하면.. 2021. 10. 1.
에릭 와이너의 천재의 발상지를 찾아서 훑어보기 에릭 와이너 지음, 천재의 발상지를 찾아서, 노승영 옮김, 문학동네,2018 천재의 특징에 관해 얘기한 에릭 와이너의 책 훑어보기 브라이너 이노가 언급했듯이 전기 기타는 터무니없이 따분한 악기다. 하지만 그걸로 잘할 만한 부분이 몇 가지 있어서 기타 연주자들은 그 몇 안 되는 것들로 자신의 창조적 에너지를 발산한다. 음악가는 자신의 악기 때문에 제약을 받는데, 그래서 오히려 더 창조적이 된다. 143. 복기에 능한 천재들 사이먼턴은 창조적 천재가 ‘초유동성superfluidity 및 역추적성backtracking ‘과 관계가 있다고 믿는다. 초유동성은 막다른 골목에 부딪히는 한이 있더라도 감을 밀어붙이려는 의지이고 역추적성은 막다른 골목이나 그렇게 보이는 것에서 돌아와 다시 살펴보는 것이다. 앞에서 보았.. 2021. 9. 30.
헤겔의 미학강의 훑어보기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헤겔의 미학강의,두행숙 옮김, 은행나무,2010 헤겔의 미학강의 예술미라는 것은 다름 아닌 정신geist로부터 탄생한 미, 정신으로부터 다시 태어난 미이다. 정신과 정신의 산물이 자연과 자연의 현상들봐 우월하듯이 예술미도 자연미보다 우월한 것이다. 28. 이처럼 상상력이 지닌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충만함과 그것이 자유로이 만들어내는 산물에 비하면, 사상은 마치 그런 것들을 완전하게 직관 또는 판단하거나 사상 자신의 일반적인 공식 속에 정렬시킬 용기마저 잃어버리게 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반대로 학문은 사람들도 인정하듯이 형식상 개별적인 것들의 무리로부터 추상화하는 사유와 관계되므로 , 한편으로 상상력과 그것이 지닌 우연성과 자의성, 즉 예술활동을 하거나 예술을 향유하.. 2021. 9. 29.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 훑어보기 나는 그 남자의 사진을 세 장, 본 적이 있다. 아이의 웃는 얼굴은 볼수록 불쾌하고 기분이 나쁜 것이 느껴진다. 인간의 웃음과는 어딘가 다르다. 피의 무게라고 할까, 생명의 깊이라고 할까. 다자이 오사무의 소설 인간실격 중 부끄러움이 많은 생애를 보내 왔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몸이 약해 자주 몸져누웠습니다. 공복이라는 것을 몰라서 식사 시간을 무서워했습니다. 인간은 어째서 하루에 세번씩 밥을 먹는 걸까, 실로 모두 엄숙한 표정으로 먹고 있다. 이것도 일종의 의식 같은 것으로 모르겠습니다. 이웃 사람의 괴로움의 성질, 정도가 전혀 짐작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익살이었습니다. 그것은 인간에 대한 저의 최후의 구애였습니다. 이것도 역시 저의 유치하고 슬픈 익살의 일종이었습니다. 사람의 화난 모습.. 2021. 9. 28.